0. 첫째 날 1교시 세법
2차 시험 5과목 중 선봉장은 세법이다. 세법은 나머지 과목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잘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행스럽게도 2차는 채점을 바로 할 수 없고 추측만 가능하다. 일단 답안지 열 장을 가득 채웠다면 그냥 무조건 잘 봤다고 생각하자. 그것이 착각이라도 상관없다.
2차 전 범위 모의고사를 응시하지 않은 초시생은 2차 1교시에 답안 작성을 처음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시간 배분과 함께 답안지 열 장에 적절하게 답안을 배분하는 감을 익혀야 한다. 보통 10점당 답안지 한 장을 채운다고 생각하고 작성하면 된다. 문제를 차례대로 풀지 않을 경우 특별히 신경 써 줘야 한다.
만약 30점 정도의 문제를 건너뛰고 다음 문제를 풀게 된다면 석 장 정도를 비워두고 답안을 작성하면 된다. 세법은 은근히 작성할 분량이 많다. 풀이 과정을 적다 보면 답안지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답안지 활용을 염두에 두자.
저자는 2차 세무회게 답안을 작성할 때 마지막 10점짜리 문제를 하나 놔두고 답안지 열 장을 다 써버린 아찔했던 기억이 있다고 한다. 이런 경우는 중간에 여백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이를 어떻게든 활용해 보자.
예를 들어 끝에 'X페이지 중간에 X번 문제풀이를 적어 놓았습니다'라고 적어 둔 뒤 중간 여백에 X번 답안을 작성하면 된다. 확실하진 않지만 이렇게라도 해야 조금이라도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도중에 아예 모르는 문제가 나오더라도 최대한 답안을 작성하자. 채점자가 어떻게 부분점수를 줄 지는 아무도 모르는 것이다. 또한 시험장에서의 답안지를 혼자서 푸는 연습장으로 착각해선 안 된다. '익入, 손不' 이라고 약어를 사용하면 큰일 난다. '익금산입, 손금불산입'이라고 생략된 부분 없이 완전한 단어를 적자.
습관적으로 '1,000,000'을 '1,ㅡ,ㅡ'이런 식으로 적는 수험생도 조심해야 한다.
시간을 절약하고 싶다면 답안에 '(백만 단위)'라고 적고 백만 단위로 숫자를 넣는 것이 낫다. 물론 이때도 최종 답은 반드시 원 단위로 작성해야 한다. 나 혼자 먹는 식사는 적당히 때워도 되지만 2차 답안지는 채점자를 위한 요리라는 점을 명심하자.
최근 세무회계 문제는 일정한 답안 양식에 따라 작성하도록 출제되는 추세이다. 이 경우 답안지에 동일한 양식으로 답을 적고 각주를 달아 풀이를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
1. 첫째 날 2교시 재무관리
정확한 답을 내지 못해도 이렇게 알고 있는 부분을 최대한 적어내면 채점하는 교수님 입장에선 부분점수를 줄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처음 보는 문제는 누구든 익숙하지 않을 것이고, 정답을 제대로 작성한 답안이 거의 없을 것이기 떄문이다.
보통 채점은 절대적인 기준에 의한 1차 채점이후, 합격자 수 조정을 위한 문제별 배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점수 조정은 대부분 수험생들의 점수를 올리는 방향(베이스 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오답률이 낮은 문제보다 높은 문제의 베이스 업 효과가 크다. 따라서 어려운 문제일수록 어떻게든 답을 적어 내는 것이 실력 대비 높은 점수를 받는 방법이다.
같은 맥락으로, 남들도 다 맞히는 쉬운 문제는 당연히 실수 없이 맞혀야 큰 점수 하락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간상 일부 문제만 검산을 할 수 있다면 쉬운 문제부터 해야 한다. 맞힐 수 있는 쉬운 문제를 실수로 틀리게 된다면 타격이 크다.
2. 첫째 날 3교시 회계감사
next ▶ 다음 날
[CPA 2차 간접체험] 둘째날 _ 재무회계 · 원가관리회계 (tistory.com)
[CPA 2차 간접체험] 둘째날 _ 재무회계 · 원가관리회계
0. 둘째 날 1교시 원가관리회계 둘째 날 1교시는 원가관리회계 과목이다. 보통 다섯 문제 정도만 출제되기 때문에 문제풀이 순서가 중요해진다. 처음에 시험지를 받아서 파본 확인을 할 때 어떤
accountant-tae.tistory.com
2차시험 1일차 과목별 공부법 ▶
https://accountant-tae.tistory.com/21?category=925432
[CPA 2차] 3. 세무회계
0. 2차 세무회계 2차 세무회계는 법인세 40%, 소득세 20%, 부가가치세 20%, 상증세 10%, 약술세법 10%의 비율로 출제된다.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 등 주요 3법의 경우 예전에는 종합문제라고 해서
accountant-tae.tistory.com
https://accountant-tae.tistory.com/18?category=925432
[CPA 2차] 0. 재무관리
0. 2차 재무관리 동차생의 2차 재무관리 포인트는 공식 암기다. 일단 1차를 통해 쌓은 실력에서 이해의 폭을 억지로 넓히려 하지 말자. 간혹 '재무관리' 기본실력이 부족하니 2차 시험을 앞두고 기
accountant-tae.tistory.com
https://accountant-tae.tistory.com/17?category=925432
[CPA 2차] 4. 회계감사
0. 회계감사란 회사의 재무제표를 정보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 · 전문적으로 검증해 주는 절차이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CPA 시험에 합격하면 감사 업무를 주로 하
accountant-tae.tistory.com
'[행복회로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A 수험생 행복회로돌리기] 4대 회계법인 (0) | 2020.06.30 |
---|---|
[CPA 2차 간접체험] 둘째날 _ 재무회계 · 원가관리회계 (0) | 2020.06.26 |
[CPA 1차 간접체험] 3교시 - 회계학 (0) | 2020.06.26 |
[CPA 1차 간접체험] 2교시 - 상법 · 세법 (0) | 2020.06.26 |
[CPA 1차 간접체험] 1교시 - 경영학 · 경제학 (0) | 2020.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