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9) 썸네일형 리스트형 [독서법] 똑똑한 모방 0. 목적지의 중요성글 읽기는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고 구조조정하는 일이다.글을 통한 지식경영은 목표와 같은 방향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1. 주제별 및 저자별 글 읽기이는 자신이 집중할 한 분야 혹은 한 사람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첫째, 어떤 분야를 집중적으로 읽을 것인지 결정하라. 그 분야에서 최고 전문가가 누구인지 파악해 몇 사람을 선정하라.둘째, 정해진 주제 안에서 그들이 쓴 최고의 책을 10권 정도 선정하라.셋째, 선정된 책을 10번 이상 반복해서 읽어라.넷째, 반복해 읽으면서 중요한 것을 추려내어 정리하라. 거기에 자기 생각을 포함해라.다섯째, 정리된 것을 통합하라. 통합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자신만의 언어로 책을 쓰는 것이다.이 과정을 충실하게 .. [독서법] 사명과 비전 삶의 방향과 목적에 따라 에너지를 집중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 '사명선언문'이다. 지금까지 진정한 변화와 발전, 그리고 매 순간 이어지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경험하지 못했다면 그것은 명확한 방향이 없었기 때문이다. 인생의 최종 방향인 사명을 실천하기 위해 이루어야 할 거시적인 프로젝트를 3개로 압축해보자. 이것이 모여 비전을 구체적으로 만들어낸다. 비전은 당연히 사명과 가치가 일치해야 한다. 사명과 일치시키지 않고 이루어지는 비전은 없다. 왜냐하면 비전이란 눈에 보이는 인생의 최종목표이기 때문이다. 진정한 글 읽기는 사명과 비전에 합당한 글을 선택하고 전략을 실천하는 것이다.진정한 능력은 하나의 강점에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반복적으로 집중하여 투입함으로써 계발되는 것이다.성공이란 자신이 판단하는.. [독서법] 읽기 <<< 생각하기 << 글쓰기 글을 읽는 것은 단지 지식의 재료를 줄 뿐이다.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색이다.- 존 로크0. 글=생각헤르만 헤세는 생각하지 않는 글 읽기를 적나라하게 비판했다. 그는 생각하지 않는 글 읽기는 인생을 낭비하는 것이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글 읽기는 단순하게 글자를 본다는 뜻이 아니다.글은 생각 그 자체이며, 글을 읽는다는 것은 본질, 핵심을 찾아내는 행위이다.성공한 모델과 내적 일치를 이루는 것이 가장 확실한 성공전략이다.그것이 글을 읽는 목적이다.지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습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두 가지에 집중해야 한다.첫째, 글의 핵심을 정확하게 뽑아낼 수 있어야 한다.둘째, 지식의 흡수와 활용 속도다. 글 읽기와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고 새로운 일을 도모하라.- 스티브 잡스나에게 여덟 .. [사이드 프로젝트 연구소]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 배울 수 있는 것들 0. 출처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91518846?cat_id=50005624&frm=PBOKPRO&query=%EC%9D%B4%EB%B2%88+%EC%83%9D%EC%9D%80+N%EC%9E%A1%EB%9F%AC&NaPm=ct%3Dm29qnpvc%7Cci%3D10576d3781941da932ea12d6b1899b62b5a5a597%7Ctr%3Dboknx%7Csn%3D95694%7Chk%3D63f050505b4cefbc2d7b29030f15c2b292561006 이번 생은 N잡러 : 네이버 도서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search.shopping.naver.com저자의 소중한 경험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1. 크라우드 펀딩1.1 장점.. [사이드 프로젝트 연구소] 취미를 돈으로 만드는 스몰 프로젝트 0. 목적 있는 연습의 힘개발하고 싶은 취미가 있다면 꾸준한 연습이 최고에 방법입니다. 여기에 '목적이 있는' 연습을 꾸준하게 한다면 최고의 방법에 속도와 방향까지 더할 수 있습니다.무언가 생산적인 일을 하기 위해서 취미에 '목적'이라는 이름을 붙이면 자연스럽게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게 되고, 실력이 빠르게 향상됩니다. 을 쓴 심리학자 안데르스 에릭슨 Anders Ecricsson에 따르면 '타고난 재능'은 없다고 합니다. 그는 30년 이상 탁월한 실력을 보이는 특별한 사람을 연구했는데, 이들의 비범해보이는 재능은 '선천적 재능'이 아니라 '올바른 연습'을 충분한 기간에 걸쳐 수행하며 발전시킨 능력이라고 합니다. 100시간 동안 그림 그리기 연습을 한다고 가정했을 때,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은 자.. [이코노미스트 2024 세계대전망 中] 역외는 이제 존재하지 않는다 : 글로벌 최저 법인세(global minimum tax) 0. 마크 존슨(Mark Johnson) 국제 통신원 1. 130개국이 넘는 국가가 2021년에 대규모 회사들에 대해 과세하는 방식을 변경하고자 하는 역사적인 거래에 합의했다. 이 합의에서 국가들은 다국적 회사의 이윤에 과세하는 권리를 배분하는 방식을 변경할 것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어떠한 대규모 기업도 그들의 이윤을 어디서 회계장부 처리하든지 간에 15%보다 낮은 세율로 세금을 낼 수 없다는 것을 법으로 정했다. 그러나 팡파르가 아직도 해결해야 할 핵심 사항이 많다는 것을 덜 중요해 보이게 만들었다. 2024년에 이 같은 대형 거래의 일부 요소가 마침내 영향을 미치기 시작할 것이다. 2. 가장 빠르게 다가올 변화는 글로벌 최저세와 관련된다. 2024년에 그것을 더 가깝게 가져올 법률이 EU, 영국.. [유용한 세금 상식 #4] 사업자가 되면 내야 하는 세금의 종류 0. 내야할 세금은 정해져 있다.사업자에게 매년 부과되는 세금 종류나 신고일은 정해져 있으므로 이에 대해 정확히 숙지하면 자금계획 수립 시 낭패를 보게 될 일은 없을 것이다. 사업자라면 자주 마주치게 되는 세금에 대해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1. 분기마다 내는 부가가치세 1.1 부가가치세는 1년에 4번 내는 세금이다.1, 4, 7, 10월은 부가가치세를 신고 · 납부(환급)하거나 고지서에 의해 납부해야 한다. 단,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업종을 택한 면세사업자는 예외다. 면세사업자를 제외한 모든 사업자는 매년 1월과 7월에 부가가치세 확정 신고를 해야 한다. 그리고 4월과 10월에는 규모에 따라 신고를 하거나, 고지서에 의해 예정납부를 하게 된다. 1.2 부가가체서는 사업자가 부담하는 세금이 아니라 최종소.. [유용한 세금상식 #3] 사업 시작 시 세금과 관련해 먼저 생각해야 할 몇 가지 사항 0. 내 사업이 중소기업 요건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우리나라에서는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많은 세제혜택을 두고 있다. 중소기업에 대한 세제혜택을 받으려면 자신의 회사가 중소기업에 속하는지를 먼저 판단해야 한다. 중소기업기본법에 의하면 중소기업의 요건을 충족하는 모든 업종을 중소기업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조세특례제한법에서는 제조업 등 42개 업종만 중소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중소기업을 위한 세금혜택을 받기 ㅇ위해서는 중소기업기본법과 세법의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단순히 어느 한 가지 기준을 충족한다고 해서 중소기업 세제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https://www.nts.go.kr/nts/cm/cntnts/cntntsView.do?mi=6562&cntntsId=7988 국세청국세청w.. [운동] 걷기 Walking 0. 걷기 운동의 시초제1차 세계대전 시 군인이 네덜란드를 행군할 때 국민들이 함께 걸으며 격려한 것이 걷기운동의 시초다. 이는 걷기가 '운동'으로 받아들여진 최초의 사건으로, 이를 기리기 위해 매년 7월 셋째주에 국제걷기대회(International 4 day March)가 열린다. 전 세계의 걷기 애호가들이 네덜란드로 모이는 날이기도 하다. 그밖에 수많은 걷기대회와 걷기 관련 상품, 여행, 서적 등으로 큰 시장을 이루며 걷기운동이 시작된 유럽 · 미국을 거쳐 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세계는 지금 걷기에 매료되어 있다. 세계보건기구(https://www.who.int/)는 '1주일에 5일 이상, 30분 이상 걸으면 웬만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며 걷기를 권고한다. 보건복지가족부는 '건강혁신1530'을 슬로.. 수험 재무 관리 공부 법 0. 출처 및 결론https://blog.naver.com/chartercity/222760593789 회계사 재무관리 접근방향해남 가족여행을 갔다가 배가 끊겨서 심심해서 숙소에서 블로그나 쓰는 중입니다 ㅋㅋ 1차생분들 중에서 재...blog.naver.com현직 회계사님이 작성하신 글을 정리하였습니다.결론은,1. DCF를 이해한다 (NPV, CAPM 등 포함)2. 각 상품별 특성을 문제를 통해 접하고 외운다. 입니다.1. 재무관리 =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 1.1 투자론 = 주식시장에서 주식(=기업)의 가격을 결정 및 판단 1.2 기업재무 = 기업이 자본 조달을 부채로 할지 자본으로 할지 결정 및 판단 1.3 파생상품 = 파생상품을 통해 헷지(위험회피)를 할지 결정 및 판단 2. 투자 = '미래현금.. 이전 1 2 3 4 ··· 14 다음